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맨큐의 경제학)

by Synorago 2025. 2. 8.
반응형

 

맨큐(Gregory Mankiw)의 경제학의 10 기본원리는 경제학을 배우는 사람들이 이해해야 할 가장 기초적인 개념들을 정리한 원칙입니다. 이를 쉽게 설명해 볼게요.

 

1. 사람들은 Trade-off(선택의 문제)에 직면한다.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어떤 것을 선택하면 반드시 다른 것을 포기해야 합니다.
예) 하루 24시간이라는 시간 자원을 어떻게 분배하느냐에 대한 고민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학업 시간을 늘리면 휴식이 줄어들고, 아르바이트 시간을 늘리면 여가 시간이 줄어드는 등의 상황이 모두 Trade-off에 해당합니다.

 

2. 어떤 선택을 할 때 그 비용은 그것을 포기했을 때의 기회비용이다.

무언가를 선택할 때 우리가 잃는 것은 단순한 금전적 비용이 아니라, 그것을 선택함으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최고의 대안(=기회비용)입니다.
예) 대학을 다니는 동안 아르바이트를 하지 않으면, 대학 등록금뿐만 아니라 알바를 해서 벌 수 있었던 돈도 기회비용이 됩니다.

또는, 주말에 친구들과 여행을 갈지, 아르바이트를 할지 결정해야 할 때 아르바이트를 하면 수입을 얻을 수 있지만, 여행에서 얻을 수 있는 즐거움과 추억은 포기해야 합니다. 이때 포기하는 가치가 곧 기회비용입니다.

 

3. 합리적인 사람은 한계적으로 사고한다.

사람들은 모든 걸 한꺼번에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이득과 비용을 비교하면서 점진적으로 결정을 내립니다.
예) 햄버거를 한 개 더 주문할까 말까 고민하는 것도 한계적 사고의 예시입니다. 추가로 하나 더 먹을 때 얻을 수 있는 만족감 (한계효용)과 늘어나는 지출 (한계비용)을 비교해 보고 결정합니다.

 

4. 사람들은 인센티브(유인)에 반응한다.

보상이 있으면 행동이 바뀝니다.
예) 매장 할인 쿠폰이나 사은품 증정 행사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10% 할인"이나 "구매 시 무료 증정" 같은 인센티브로 인해 소비자의 구매 욕구가 높아집니다.

 

5. 상호 교역은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자유로운 거래는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고, 거래를 통해 모두가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예) 가족 내에서 요리를 잘하는 사람과 설거지를 잘 하는 사람이 역할을 나누는 사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한 사람은 요리를, 다른 한 사람은 설거지를 담당해 함께 협력하면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6. 보통 시장이 경제 활동을 조직하는 좋은 방법이다.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이 시장에서 조화를 이루며, 중앙정부가 아닌 시장의 가격 시스템이 경제를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 중고 거래 플랫폼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원하는 사람에게 자유롭게 파는 과정에서, 시장 가격이 형성되고 자원이 효율적으로 재배분됩니다.

 

7. 때때로 정부가 시장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

시장이 항상 완벽한 것은 아니므로, 정부가 개입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예) 공해나 쓰레기 문제 같은 외부효과가 발생할 때, 정부가 환경 규제나 쓰레기 처리 비용을 부과해 문제를 완화하려는 사례가 있습니다. 이것은 시장이 자율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을 정부가 개선하려는 것입니다.

 

8. 한 나라의 생활 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 능력에 달려 있다.

국민의 생활 수준은 그 나라의 경제 생산성이 높을수록 올라갑니다.
예) 생산성이 높은 회사가 더 많은 이윤을 창출하고, 기 이윤을 근로자 임금 상승이나 연구개발 투자로 이어가면 기업과 개인 모두의 생활수준이 개선되는 모습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9. 정부가  너무 많은 화폐를 발행하면 물가가 상승한다 (인플레이션).

중앙은행이 돈을 너무 많이 찍어내면 화폐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인플레이션)가 상승합니다.
예) 중앙은행이 시장에 자금을 대폭 풀면, 사람들의 구매력이 커지고, 물건 값이 점차 오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10. 단기적으로 실업과 인플레이션은 상충관계(trade-off)가 있다.

단기적으로 정부가 돈을 많이 풀면 경기가 살아나서 실업이 줄어들 있지만, 결국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낮추면 기업이 투자를 늘려 일자리가 증가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물가가 올라 경제가 불안정해질 있음.

 

이처럼 우리 주변의 선택과 행돌들은 경제학 원리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경제학 사고방식을 적용하면 더욱 합리적인 판단과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